스스로 질문하면 답을 찾는 파이썬 도서 리뷰 <Head First Python>
불편한 첫 인상
Head First Python 시리즈 책을 보는 것은 처음이다. 서점에서 보았던 첫 인상은 정신 사납다는 느낌이었다. 책 중간 중간에 사람 사진이며, 그림과 사람 사진을 오고 가는 화살표와 선들 그리고 사람들 옆에 있는 만화를 연상 시키는 듯한 말머리 상자 덕분이었다.
보통 프로그래밍 책들은 코드 부분에서 독자들이 잘 볼 수 있도록 컬러로 나타내는 부분이 많은데, 이 책을 처음 봤을때에는 전부 회색조라 참으로 불친절 하구나 생각도 했다. 과연 책에 나와 있는 코드를 제대로 입력했는지 작동 시켜보기 전까지는 알 수 없으니 말이다.
그래서 구입해서 본적이 없었는데 한빛미디어의 “나는 리뷰어다!” 에 지원하여 이렇게 만나게 되었다.
어?! 괜찬은데?
과연 집중이 잘 되려나 약간의 의심을 가지고 읽어 나가다 보니 서두에서 앞에서 느꼈던 부분들은 한낱 기우 였음을 느끼게 되었다. 파이썬 내용이 쉬운 건지 알기 쉽게 설명을 하는 것인지 분간이 안될 정도로 집중해서 읽어 나가게 되었다.
구조가 한 페이지 안에서 간결하게 예제와 설명이 진행되고 또 다음 페이지에 자연스레 이어지는 구조이다 보니 소설 읽듯이 읽어 나갈 수가 있었다. 책에서도 이야기 하지만 대화체 구조의 서술 방식이 한몫 더 거들었다고 생각한다. 이 부분은 책 서두에서도 밝히고 있는 부분이다. 처음에는 그러려니 했는데 곧 이해가 되면서 그 효과에 대하여 수긍 할 수 밖에 없었다.
제목의 글씨와 내용의 글씨가 각기 다른 글씨체로 되어 질리지 않고, 제목에 먼저 눈이 가도록 하여 시선이 책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 하는 기분이 들었다. 그럼에도 약간의 색깔을 넣어서 강조해야 할 부분이라도 표기를 해주면 어떨까 싶은 아쉬움이 있다.
저자는 완전한 프로그래밍 초보를 대상독자로 하지 않고 프로그래밍 경험을 가지고 있으나 파이썬을 처음 접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고 한다. 그래서 이해가 쉬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면서 프로그래밍에 대한 아무런 이해가 없는 사람이 보았을때는 어떤 느낌일지도 궁금하다.
내용에서 플라스크와 엮어 웹앱을 다루는 예제를 다루는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부분들은 학습 하는 입장에서 아이디어를 더해 자신만에 프로젝트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단순히 문법 소개에 치우친 예제들을 가지고 학습을 하게 되면 정작 문법만 공부하고 나서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방황 하는 경우들이 많은데, 그런 부분에 대한 예방책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막연하게 알고 있던 파이썬을 쉽게 이해 할수 있었고, 또 다른 언어들과의 다른 장점을 간단한 예제들을 통해 실감 할 수 있었다. 왜 쉽다고 하는지, 생산성이 높다고 하는지 말이다.
앞으로는 다른 프로그래밍언어나 기술 서적을 봐야 할 일이 있다면 제일 먼저 Head First 시리즈 책을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파이썬을 공부 하겠다는 사람에게는 이 책은 더할 나위 없는 책이라고 적극 추천을 하겠다.
이런 분들 이라면 적극 추천
- 파이썬에 대한 아주 얇은 기본서를 학습 한분
- 문법 나열과 소개의 방식애 지친 독자
<Head First Python>의 자세한 내용은 한및미디어 홈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