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유튜브 영상 한 편도 안 보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출퇴근길 자리에 앉아 혹은 버스나 지하철을 기다리며, 또는 주문은 음식을 기다리며, 혼밥을 하면서도 보기도 하고, 자려고 누워서도 쉽게 잠에 이르지 않고 유튜브를 해메다 잠드는 이가 나뿐만은 아닐 것이다.
이런 유튜브에서 무려 377만명이라는 엄청난 구독자를 가지고있는 허팝 이라는 유튜버가 책을 냈다. 사실 프리미엄을 결제 해서 보고 있는 유튜브이지만 허팝의 콘텐츠는 한번도 본적이 없다. 이름은 들어봤었지만 내가 궁금해 하는 주제를 다루지 않았기에 아마도 접점이 없었던 것이다. 책을 보면 허팝이 어떤 사람이고, 어떤 계기로 유튜브를 시작하고 현재에 이르렀는지 간단하게 도입부에 설명하고 있다.
허팝이 유튜브를 시작하게 된 동기,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현재의 모습은 어떠한지 어렵지 않은 설명으로 구독자가 잘 몰랐던 부분들을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유튜버가 되려는 사람들에게도 여러가지 사항들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사실 그 내용들이 어렵고 복잡한 것은 아니다. 대신에 유튜버로서 꾸준히 노력해야 하는 점이 어려운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허팝이 강조하는 바는 책에 씌여진 것처럼 다음 한 문장으로 압축 할 수 있을 것이다. ” 뭐라도 촬영하고, 편집하고 업로드 해봐야 어떻게 기획하고, 촬용하고, 편집할지 업로드와 운영은 어떻게 할지 몸소 체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맺음말에서도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게으름 vs 꾸준함 + 절실함 + 솔직함”. 그만큼 유튜브가 진입장벽은 낮을지 몰라도 지속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377만 구독자를 거느린 유튜버도 이야기 하고 있다. 이정도 되면 에이 난 못하겠다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뭐라도 해보라는 조언에 또 상상에 나래를 펼치게 된다.
책은 크게 3개 파트로 나뉘어있다. 동영상 콘텐츠 기획, 동영상 촬영과 편집, 유튜브 채널 운영
콘텐츠 기획은 어떤것을 다룰 것인가에 대한 고찰인데. 우선적으로 이야기 하는 것이 본인이 잘 알고 있는 것이다.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하는 것도 아니고, 누가 찾아와서 읽을 지도 모를 글을 적는 것도 아니고, 눈으로 직접 보여주고 설명을 해주어야 하니 본인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시작 하는게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말한다.
촬영과 편집은 일단 기획이 수립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아무 의미 없는 것을 촬영하여 업로드 할 수는 없지 않는가. 허팝은 여기서도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설명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운영에서는 377만 구독자를 만들어낸 특별한 기교, 기술을 설명하고 있을 것 같지만 실제는 끊임 없는 고민과 노력임을 이야기 하고 있다.
유튜브가 수인 창출의 플랫폼으로서 이름을 날린지도 최소 2~3년 이상은 지난터라 전문 유튜버로의 진입보다 부수적인, 부캐릭터 형성을 위한 유튜버가 상대적으로 더 늘고 있는 추세에서 자신만의 콘텐츠를 기획, 업로드하고 운영, 관리하기 위한 따라하기로서는 안성맞춤인 책이다.
유튜브 프리미엄을 결제 해서 보고 있는 사용자로서 구독 하는 콘텐츠가 점점 늘어 가면서 정말 많은 주제를 가지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풀어 내는 사람들이 정말 많구나 느끼고 있었던 차에 허팝의 책을 보면서 그 이면의 내가 잘 알지 못하고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들을 친절하게 알려주어 금방이라도 유튜버가 될 수 있도록 안내 해주는 책이다.또한 구독하고 있는 여러 채널의 유튜버들도 이러한 노력을 항시 하고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게된 계기가 되었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